고구려 멸망 이후 발해 건국기를 다룬 장편 역사소설 ‘발해, 새벽의 제국(미다스북스)’이 출간됐다. 소설은 발해의 창건 과정을 사료·역사·문학적 상상력을 결합해 재해석하며, 잊혀 온 동북아 고대사의 공백을 새롭게 복원한다.
‘발해, 새벽의 제국’의 배경은 고구려 유민이 격동의 국제정세 속에서 제2의 제국을 일으키는 과정이다. 주인공 대조영과 걸사비우, 대걸걸중상 등 실존 인물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전쟁·망명·분열·재건을 관통하는 발해 건국기의 핵심 장면을 서사적으로 재구성했다. 안시성 전투 이후 무너진 고구려 세력이 어떻게 하나의 국가로 다시 일어서는지를 여러 인물의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그린 것이 특징이다.
소설의 서사는 긴박하다. 천문령 전투·이동과 망명·유민 규합·건국의 정치적 협상 과정이 군더더기 없는 문장으로 이어진다. 특히 전쟁의 감정과 생존의 두려움, 지도자의 결단을 교차로 배치해 ‘폐허에서의 창건’이라는 주제를 강화했다.
책을 집필한 안지상 소설가는 고고학 자료와 남아 있는 사료를 토대로 발해사의 주요 논점을 문학적으로 해석했다. 사료가 부족한 시대라는 한계를 고려해 기록되지 못한 공백을 신중한 상상력으로 채우며 건국기의 긴장감과 감정선을 더욱 확고히 했다. 소설 전반에는 당·발해·신라·돌궐 등 동아시아 정세를 시각화한 지도와 연표도 포함돼 독해를 돕는다.
작품은 단순한 역사 재현이 아니라, ‘말해지지 못한 역사’가 현재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묻는 데 초점을 둔다. 저자는 발해사를 둘러싼 정체성 논란, 고구려 유민의 생존 서사, 폐허 위에서 새로운 국가를 세운 집단의 의지 등을 소설적 장면으로 풀어내며 "발해는 잊힌 제국이 아니라 미완의 역사"라는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한편 고대사의 미묘한 결을 탐구해온 안 소설가는 ‘이순신, 사랑을 하다’, ‘손문욱’, ‘발해의 전설’, ‘발해, 새벽의 제국’ 등 다수의 저서를 펴냈다. 현재는 역사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문학과 학문을 잇는 연구자의 길을 걸으며 집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윤태민 기자 ytm@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