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들어 4월까지 주택 공급의 3대 지표인 인허가, 준공, 착공이 모두 감소하고, 분양은 40% 넘게 줄어들었다.
건설 경기 침체 속에서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은 11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는 주택공급 확대, 건설사의 수익성 확보 정책 마련을 새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밝힌 ‘2025년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악성으로 분류되는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6천422가구로, 3월에 비해 5.2%(1천305가구) 증가했다. 이는 2013년 8월의 2만6천453가구 이후 11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악성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20개월 연속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은 83%인 2만1천897가구)가 지방에서 나왔다.
일반 미분양 주택은 4월 6만7천793가구로, 전월보다 1.6% 줄었다. 4월 수도권 미분양(1만5천905가구)은 전월보다 3.8% 감소했고, 지방(5만1천888가구)은 1.0% 줄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4월까지 주택 공급 3대 지표인 인허가, 착공, 준공도 일제히 감소했다.
4월 주택 인허가는 2만4천26가구로, 전년 같은기간보다 22.6% 줄었다. 수도권(-5.8%)보다 지방 인허가(-38.5%)가 훨씬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월 누계 인허가 역시 9만14가구로, 전년동기에 비해 12.2% 줄어들었다.
주택 착공은 4월 2만5천44가구로, 전월 대비 81.8% 증가했으나 1∼4월 누계(5만9천65가구)는 작년 동기 대비 33.8% 감소했다.
4월 분양은 2만214가구로 전월보다 133.8% 증가했으나 1∼4월 누계(4만1천685가구)로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41.0% 줄었다. 1∼4월 분양은 수도권이 21.7% 줄었으며 지방은 무려 54.3% 줄어들었다.
4월 준공(입주)은 3만5천107가구로, 전월 대비 34.4% 증가했다. 1∼4월 누계(13만9천139가구)로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9.8% 감소했다.
이에 띠라 건설업계는 새 정부에 공급 확대 및 건설사의 수익성 확보 정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현재 부동산 시장은 서울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 속에 공급 절벽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건설 경기는 공사비 상승과 지방 미분양 등으로 불황의 골이 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공사비지수는 2020년 이후 30% 가까이 급등했으며 대형 건설사도 수입보다 지출이 커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
부동산R114 분석을 보면 지난해 상위 10대 건설사(시공능력평가 기준)의 매출 대비 원가율은 93%에 육박하고 있다. 통상 원가율이 80% 수준이어야 안정적이라고 판단한다.
공사비 상승으로 지방에서는 미분양이 적체되면서 지방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중소형 건설사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건설사 수익성 확보 정책과 함께 지방 미분양 해소 등을 위해선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다주택자 세제 중과 폐지나 미분양 주택 취득 시 양도세 한시 감면, 취득세 중과 배제 등의 정책 시행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도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대한건설협회는 최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에 내년 SOC 예산이 30조원 이상 편성을 건의했다.
/김용석 기자 yskim@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