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국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 3년만에 상승 전환

작년 전국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 3년만에 상승 전환

  • 기자명 김용석 기자
  • 입력 2025.03.30 14:33
  • 수정 2025.03.30 15:20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산연, 작년 분석결과 6.8% 증가
면적 늘어도 예년 70~80% 수준
광주·전북·울산 등은 착공면적 줄어
"착공면적 감소지역 건설경기 심각"

 

2011~2024년 건축착공면적 추이. /국토교통부 제공
2011~2024년 건축착공면적 추이. /국토교통부 제공

2024년 전남 등 전국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이 3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건축 착공 면적도 전년 대비 5% 가까이 증가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지난해 전국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2천690만㎡로 2023년에 비해 6.8% 늘었다고 30일 밝혔다.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2020년 4천30만㎡, 2021년 4천680만㎡ 등으로 4천만㎡를 넘어섰다. 하지만 2022년 3천470만㎡으로 하락한 후 2023년엔 2천520만㎡까지 줄어들었다. 지난해 170만㎡가량 늘어나며 3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2001~2023년 평균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 3천800만㎡와 비교하면 70%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주거용 건축착공면적은 2001~2023년 평균 3천800만㎡인데 2024년 착공 면적은 예년의 70% 수준에 불과하다"며 "2024년 비주거용 건축착공면적도 예년의 80% 수준이다"고 말했다.

지난해 비주거용 착공 면적도 3.8% 증가하며 5천240만㎡를 기록했으나 이 역시 예년(2001~2023년 평균 6천600만㎡)의 80%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수도권의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1천170만㎡)이 9.4% 증가한 가운데 특히 인천이 64.6%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은 3.5% 줄고 경기도는 0.1% 증가해 횡보세를 나타냈다.

지방은 전년 대비 4.9% 증가한 1천515만㎡를 기록했다.

광주, 울산, 강원, 충북, 전북, 경북 등은 주거용 착공이 전년보다 감소했다. 부산, 대구, 대전, 세종, 충북, 전남, 경남, 제주 등은 증가했다.

건축 착공 면적이 감소한 지역은 대부분 2~3년 이상 착공이 감소해 건설 경기가 심각한 것으로 건산연은 분석했다.

또 진행 중인 공사 물량이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까지 감소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건산연은 내다봤다.

한편 2024년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7천930만㎡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박 위원은 "건축 착공 감소한 지역 대부분 2~3년 이상 장기적으로 감소한 곳이다"며 "장기간 건축 착공이 감소한 지역일수록 건설경기가 심각한 지역으로 분류되고, 진행 중인 공사 물량이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까지 감소할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김용석 기자 yskim@namdonews.com

저작권자 © 남도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